요소 | |
---|---|
56Ba바륨137.32772
8 18 18 8 2 |
![]() |
기본 속성 | |
---|---|
원자 번호 | 56 |
원자량 | 137.3277 amu |
요소군 | 알칼리 토금속 |
기간 | 6 |
그룹 | 2 |
차단하다 | s-block |
Discovery year | 1772 |
동위원소 분포 |
---|
130Ba 0.106% 132Ba 0.101% 134Ba 2.417% 135Ba 6.592% 136Ba 7.854% 137Ba 11.23% 138Ba 71.70% |
134Ba (2.42%) 135Ba (6.59%) 136Ba (7.85%) 137Ba (11.23%) 138Ba (71.70%) |
물리적 특성 | |
---|---|
밀도 | 3.594 g/cm3 (STP) |
(H) 8.988E-5 마이트네리움 (Mt) 28 | |
녹는점 | 729 °C |
헬륨 (He) -272.2 탄소 (C) 3675 | |
비등 | 1640 °C |
헬륨 (He) -268.9 텅스텐 (W) 5927 |
화학적 특성 | |
---|---|
산화 상태 (덜 일반적) | +2 (+1) |
제일 이온화 에너지 | 5.212 eV |
세슘 (Cs) 3.894 헬륨 (He) 24.587 | |
전자 친화 | 0.145 eV |
노벨리움 (No) -2.33 (Cl) 3.612725 | |
전기음성도 | 0.89 |
세슘 (Cs) 0.79 (F) 3.98 |
바륨(Ba): 주기율표 원소
요약
바륨(Ba, 원자 번호 56)은 주기율표 2족의 다섯 번째 원소로, 부드럽고 은백색의 알칼리 토금속으로 산업적·과학적 응용 분야가 매우 넓습니다. 원자량 137.327 ± 0.007 u, 밀도 3.62 g/cm³인 바륨은 +2 산화 상태에서 주로 이온 화합물을 형성하며, 녹색 화염 반응 등 알칼리 토금속의 특성적 반응성을 보입니다. 이 원소는 지각에 0.0425% 함유되어 있으며, 주로 중정석(BaSO₄)과 위더라이트(BaCO₃) 광물 형태로 존재합니다. 산업적 응용으로는 굴진액, 의료 영상 대비제, 진공관 가스 제거제, 특수 세라믹 부품 등이 있습니다. 물에 용해되는 바륨 화합물은 상당한 독성을 가지므로 실험실 및 산업 현장에서 신중한 취급이 필요합니다.
서론
바륨은 주기율표 56번 원소로, 알칼리 토금속(2족)의 다섯 번째 구성원이자 6주기 s-블록의 마지막 원소입니다. 전자 배치 [Xe]6s²를 가지며, 이에 따라 이중가 화학 특성을 보이고 증가하는 원자 반지름, 감소하는 이온화 에너지, 증가하는 금속성 등 2족의 주기적 경향을 반영합니다. 1772년 칼 쉐일레가 중정석에 새로운 원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했으나, 금속 바륨의 분리에는 험프리 데이비가 1808년 개발한 전해법이 필요했습니다. 이름은 그리스어 βαρύς(무겁다는 의미)에서 유래하여 일반 광물 중에서도 높은 밀도를 반영합니다. 현대적 관점에서 바륨은 특수 기술 응용에 필수적이지만 생물학적 위험성도 동시에 고려되어야 합니다.
물리적 성질과 원자 구조
기본 원자 매개변수
바륨은 원자 번호 56, 전자 배치 [Xe]6s²로, 18전자 규소가스 코어와 6s 오비탈의 두 개의 가전자를 가집니다. 원자 반지름은 268 pm로, 스트론튬(249 pm)과 칼슘(231 pm)에 비해 전자 껍질 증가에 따른 예측 가능한 증가를 보입니다. Ba²⁺ 이온 반지름은 149 pm로, 6s 전자 제거 후 수축 현상을 반영합니다. 제1 이온화 에너지는 502.9 kJ/mol로, 마그네슘(737.7 kJ/mol)에서 스트론튬(549.5 kJ/mol)까지 감소하는 알칼리 토금속 경향을 따릅니다. 제2 이온화 에너지는 965.2 kJ/mol로, 두 번째 가전자 제거가 비교적 용이함을 나타냅니다. 가전자에 작용하는 유효 핵전하는 내부 전자 껍질의 차폐 효과를 고려하여 +2.85로 추정됩니다.
거시적 물리적 특성
금속 바륨은 은백색 외관에 초순수 상태에서 연한 노란색을 띠며, 공기 중 노출 시 빠르게 어두운 회색 산화물 코팅을 형성합니다. 결정 구조는 체심 입방으로, 격자 상수 503 pm이며 온도 상승 시 1.8 × 10⁻⁵ /°C 비율로 바륨-바륨 거리가 증가합니다. 물리적 경도는 모스 척도 기준 1.25로, 2족 금속의 높은 가단성을 보여줍니다. 녹는점은 1000 K(727°C)로 스트론튬(1050 K)과 라듐(973 K) 사이에 위치하며, 끓는점은 2170 K(1897°C)로 스트론튬(1655 K)보다 훨씬 높습니다. 상온에서 밀도는 3.62 g/cm³로 스트론튬(2.36 g/cm³)과 라듐(~5 g/cm³) 사이의 증가 경향을 따릅니다. 전기 전도성은 금속적 특성을 보이며 온도 상승에 따라 선형적으로 저항이 증가합니다.
화학적 성질과 반응성
전자 구조와 결합 특성
바륨의 반응성은 6s² 가전자를 완전히 잃고 [Xe] 규소가스 배치를 달성하려는 경향을 반영합니다. +2 산화 상태가 모든 화합물에서 압도적으로 우세하며, Ba²⁺ 이온은 유리한 격자 에너지와 수화 엔탈피로 인해 높은 안정성을 가집니다. 결합은 이온 메커니즘을 따르며, 폴링 전기음성도 0.89로 전자 기증 경향이 강한 것을 보여줍니다. 결정질 고체에서 배위수는 일반적으로 6~12로, 큰 이온 반지름이配위체의 접근을 넓게 허용합니다. 이온 크기로 인한 극화력이 낮아 대부분의 화합물에서 이온 결합 특성이 공유결합보다 우세합니다.
전기화학적 및 열역학적 성질
Ba²⁺/Ba 전극의 표준 환원 전위는 -2.912 V로, 표준 수소 전극 대비 가장 강한 환원성을 가진 금속 중 하나임을 나타냅니다. 이는 물, 산, 대기 산소와의 자발적 반응을 의미합니다. 전기음성도는 폴링 기준 0.89, 멀리켄 기준 0.97로 강한 전기음성 특성을 확인합니다. 제1 이온화 에너지 502.9 kJ/mol은 전자 제거의 용이성을, 제2 이온화 에너지 965.2 kJ/mol은 전이금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접근 가능한 값을 보입니다. 전자 친화도는 거의 0으로, 금속 특성과 양이온 형성 경향과 일치합니다. Ba²⁺ 화합물의 열역학적 안정성은 이온화 에너지 요구량을 상쇄하는 격자 에너지로 인해 다른 알칼리 토금속 유사체보다 일반적으로 우월합니다.
화학 화합물과 착물 형성
이원 및 삼원 화합물
바륨 산화물(BaO)은 고온에서 직접 산화되어 암염 구조를 형성하며 Ba-O 거리는 276 pm입니다. 수용액에서 염기성을 보입니다. 바륨 황화물(BaS)은 황산염의 탄소열환원으로 생성되며, 암염 구조를 유지하고 다른 바륨 화합물의 합성 전구체로 사용됩니다. 할로겐화물 계열에는 BaF₂(불화물 구조, 낮은 용해도), BaCl₂(루틸형, 높은 용해도), BaBr₂, BaI₂가 포함되며, 할로겐족 하향 시 용해도가 증가하는 일반적 경향을 따릅니다. 바륨 탄산염(BaCO₃)은 위더라이트 광물로 자연에 존재하며, 직교 아르agonite 구조와 제한적인 물 용해도를 가집니다. 바륨 황산염(BaSO₄)은 Ksp=1.08 × 10⁻¹⁰의 극저 용해도를 가지며, 바륨의 주요 자연 형태인 중정석 구조를 채택합니다.
배위 화학과 유기금속 화합물
바륨 배위 착물은 큰 이온 반지름과 약한 결정장 효과로 인해 6~12의 배위수를 보입니다. 일반配위체에는 물, 아세테이트, 질산염, EDTA 및 크라운 에터 같은 킬레이트제가 포함됩니다. 크라운 에터 착물 중 18-크라운-6은 Ba²⁺ 선택성이 뛰어나 분리 공정에 유용합니다. 유기바륨 화학은 고도로 이온성인 Ba-C 결합으로 제한적이지만, 무수 조건에서 특수 합성 경로를 통해 디알킬바륨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기금속 물질은 불활성 분위기에서 취급해야 하며, 프로톤 용매와 대기 중 수분에 극도로 민감합니다.
자연 존재와 동위원소 분석
지화학적 분포와 함량
지각 내 평균 함량은 425 ppm(0.0425%)으로, 지각에서 14번째로 풍부한 원소이자 가장 풍부한 중알칼리 토금속입니다. 해수의 농도는 13 μg/L로, 해양 조건에서 일반 바륨 광물의 낮은 용해도를 반영합니다. 주요 광물은 수열작용과 퇴적 침전으로 생성된 중정석(BaSO₄)과 캄브리아산 납-아연 광상에 존재하는 위더라이트(BaCO₃)입니다. 지화학적 특성은 스트론튬과 칼슘과 유사하며, 탄산염 및 황산염 광물 격자 내 치환 가능합니다. 화성분화 과정에서 K-장석과 비오타이트에 농축된 후 풍화 및 수열 변질 과정에서 이동됩니다.
핵 특성과 동위원소 조성
자연 바륨은 ¹³⁰Ba(0.106%), ¹³²Ba(0.101%), ¹³⁴Ba(2.417%), ¹³⁵Ba(6.592%), ¹³⁶Ba(7.854%), ¹³⁷Ba(11.232%), ¹³⁸Ba(71.698%)의 7개 안정 동위원소로 구성됩니다. ¹³⁸Ba는 핵 스핀 0과 쌍극자 모멘트 결여로 가장 풍부한 동위원소입니다. ¹³⁰Ba는 ¹³⁰Xe로의 이중 베타 붕괴가 가능하나 반감기가 (0.5-2.7) × 10²¹년으로 우주의 나이(약 10¹¹배)보다 훨씬 깁니다. 인공 방사성 동위원소에는 감마선 교정에 사용되는 ¹³³Ba(t₁/₂=10.51년)와 ¹¹⁴Ba~¹⁵³Ba 사이의 단수명 동위원소가 포함됩니다. 가장 안정한 인공 동위원소인 ¹³³Ba는 감마선 방출 에너지와 적절한 반감기로 인해 핵의학 및 방사선 검출 교정에 활용됩니다.
산업 생산과 기술적 응용
추출 및 정제 방법론
주요 생산은 BaSO₄를 함유한 중정석 채굴에서 시작되며, 부유선광법으로 철과 규소 불순물을 제거해 95% 이상 순도를 달성합니다. 탄소열환원 반응은 1100-1200°C에서 BaSO₄ + 2C → BaS + 2CO₂ 반응식으로 진행됩니다. 수용성 BaS는 다른 화합물의 중간체로 사용되며, 산화 시 황산염, 질산과 반응 시 질산염, CO₂와 반응 시 탄산염을 생성합니다. 금속 바륨 생산은 1100°C에서 산화바륨과 알루미늄의 반응으로 BaAl₄ 중간체를 형성한 후 BaO와 추가 환원 반응을 통해 금속 바륨과 BaAl₂O₄ 부산물을 얻습니다. 진공 증류로 조금을 정제하여 99% 이상 순도를 달성하며, 주요 불순물은 스트론튬(0.8%)과 칼슘(0.25%)입니다. 연간 중정석 생산량은 전 세계 600~800만 톤으로, 중국이 50% 이상을 생산합니다.
기술적 응용과 미래 전망
전 세계 중정석 생산량의 90% 이상은 굴진액으로 사용되며, 4.5 g/cm³의 높은 밀도와 화학적 불활성으로 석유·가스 시추 시 유체 정압을 조절합니다. 의료 영상에서는 X선 불투과성과 생물학적 불활성으로 BaSO₄를 위장관 조영제로 사용합니다. 진공관 기술에선 잔류 가스 제거제로 금속 바륨을 활용합니다. 특수 세라믹 응용에는 강유전 특성과 높은 유전율을 가진 BaTiO₃가 포함됩니다. 차세대 기술에서는 YBCO(YBa₂Cu₃O₇)와 같은 고온 초전도체에서 액체 질소 끓는점(77 K) 이상의 임계 온도 달성을 위한 바륨 화합물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역사적 발전과 발견
중세 연금술사들은 빛 노출 후 인광 특성을 보이는 "볼로냐 석(Bologna stones)"을 바륨 광물로 인식했으며, 1602년 빈첸초 카시오롤루스가 최초로 기술했습니다. 1772년 칼 쉐일레가 중정석에 미지의 원소가 있음을 분석했으나 당시 기술로는 분리가 불가능했습니다. 1774년 요한 가우타바 가한은 유사한 결과를 도출했으며, 윌리엄 위더링은 캄브리아산 납 광산의 중광물(위더라이트)을 기술했습니다. 안토니 라부아지에는 "바리트(baryte)"라는 명칭을 제안했고, 금속 분리 후 "바륨(barium)"으로 정식 명명되었습니다. 험프리 데이비는 1808년 용융 Ba(OH)₂ 전해로 최초로 금속 바륨을 분리했습니다. 로버트 분젠과 어거스터스 마티센은 BaCl₂-NH₄Cl 혼합물 전해법을 개선하여 연구용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결론
바륨은 알칼리 토금속 내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며, 2족의 특성적 반응성과 현대 기술 및 산업의 특수한 응용 분야를 결합합니다. 높은 밀도, 화학 반응성, 독특한 분광 특성은 석유 채굴에서 의료 진단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향후 연구 방향은 환경 지속 가능한 추출 공정 개발, 첨단 세라믹 및 초전도체 기술 확장, 독성학적 문제 해결을 위한 취급 프로토콜 및 화합물 설계 개선에 중점을 둡니다.

저희 화학반응식 계산기에 만족하셨다면 만족도 평가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