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 | |
---|---|
44Ru루테늄101.0722
8 18 15 1 |
![]() |
기본 속성 | |
---|---|
원자 번호 | 44 |
원자량 | 101.072 amu |
요소군 | 전이 금속 |
기간 | 5 |
그룹 | 1 |
차단하다 | s-block |
Discovery year | 1844 |
동위원소 분포 |
---|
96Ru 5.52% 98Ru 1.88% 99Ru 12.7% 100Ru 12.6% 101Ru 17.0% 102Ru 31.6% 104Ru 18.7% |
96Ru (5.52%) 98Ru (1.88%) 99Ru (12.70%) 100Ru (12.60%) 101Ru (17.00%) 102Ru (31.60%) 104Ru (18.70%) |
물리적 특성 | |
---|---|
밀도 | 12.37 g/cm3 (STP) |
(H) 8.988E-5 마이트네리움 (Mt) 28 | |
녹는점 | 2250 °C |
헬륨 (He) -272.2 탄소 (C) 3675 | |
비등 | 3900 °C |
헬륨 (He) -268.9 텅스텐 (W) 5927 |
루테늄(Ru): 주기율표 원소
요약
루테늄은 원자번호 44번과 화학 기호 Ru를 가진 희귀한 전이 금속 원소로, 주기율표 8족에 속하는 백금족 금속에 포함됩니다. 이 단단하고 광택이 나는 은백색 금속은 상온에서 뛰어난 화학적 불활성과 부식 및 산화 저항성을 보입니다. 루테늄의 전자 배치는 [Kr] 4d7 5s1이며, −2에서 +8까지 다양한 산화 상태를 나타내지만 +2, +3, +4 상태가 가장 일반적입니다. 독특한 물리적 성질로는 2607 K의 융점, 4423 K의 끓는점, 12.45 g/cm³의 밀도가 있습니다. 산업적 응용 분야로는 전기 접촉부, 두꺼운 필름 저항체, 촉매 공정이 포함됩니다. 연간 글로벌 생산량은 약 35톤이며, 주요 상업적 자원지는 남아프리카와 러시아입니다.
서론
루테늄은 주기율표에서 44번 위치를 차지하며, 전이 금속의 두 번째 행에 속하는 8족에 있습니다. 이 원소는 철과 인접 원소에서 예상되는 d6s2 패턴에서 벗어난 [Kr] 4d7 5s1의 비정상적인 전자 배치를 보입니다. 이 배치는 반가득 찬 d 부껍질과 관련된 안정화 에너지로 인한 결과이며 루테늄의 독특한 화학적 성질에 기여합니다. 카를 에른스트 클라우스는 1844년 카잔 대학교에서 백금 광석 잔여물을 분석하던 중 루테늄을 발견했으며, 이는 라틴어로 러시아를 지칭하는 Ruthenia에 따라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이 발견은 백금족 금속 화학의 중요한 발전을 표시했으며, 로듐과 팔라듐과 함께 가벼운 백금족 삼원체의 마지막 구성원으로 확립되었습니다.
물리적 성질 및 원자 구조
기본 원자 매개변수
루테늄은 원자번호 44번과 101.07 u의 원자량을 가집니다. 전자 구조는 [Kr] 4d7 5s1의 배치를 따르며, 8족 원소 내에서 5s 오비탈에 두 개 대신 하나의 전자만 존재하는 특이한 사례를 보입니다. 이 배치는 d7 구조 내 교환 에너지 안정화로 인한 것입니다. 원자 반지름은 134 pm이며, 산화 상태에 따라 이온 반지름이 달라집니다: Ru3+는 68 pm, Ru4+는 62 pm의 반지름을 가집니다. 원자가 전자를 경험하는 유효 핵전하량은 내부 껍질의 차폐 효과로 약 4.1에 근접합니다. 제1 이온화 에너지는 710.2 kJ/mol, 제2 이온화 에너지는 1620 kJ/mol, 제3 이온화 에너지는 2747 kJ/mol로, 전자 제거 시 핵 인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함을 반영합니다.
거시적 물리적 특성
루테늄은 뛰어난 기계적 내구성을 지닌 광택이 나는 단단한 은백색 금속으로 나타납니다. 상온에서 이 원소는 격자 상수 a = 270.6 pm 및 c = 428.1 pm을 가진 육방밀집 구조로 결정화됩니다. 네 가지 다형체가 존재하지만, 육방정계 구조는 정상적인 압력과 온도에서 안정적입니다. 밀도는 298 K에서 12.45 g/cm³로, 이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원소에 속합니다. 융점은 2607 K(2334°C), 끓는점은 4423 K(4150°C)입니다. 융해열은 38.59 kJ/mol, 증발열은 591.6 kJ/mol이며, 일정 압력에서의 정압비열은 24.06 J/(mol·K)입니다. 상온에서의 열전도도는 117 W/(m·K), 전기 저항률은 7.1 × 10−8 Ω·m입니다.
화학적 성질 및 반응성
전자 구조 및 결합 거동
루테늄의 d7s1 원자가 배치는 −2에서 +8까지의 산화 상태를 가능하게 합니다. 그러나 안정한 화합물에서는 +2, +3, +4 상태가 우세합니다. 이 원소는 리간드 장 세기와 산화 상태에 따라 팔면체, 사면체, 정사각 평면 배열 등 다양한 배위 기하학적 구조를 나타냅니다. 결합 형성은 주로 d 오비탈의 혼성화를 포함하며, 가득 차거나 부분적으로 채워진 d 오비탈로 인해 상당한 π-결합 능력을 보입니다. Ru−O 결합 길이는 RuO4에서 197 pm에서 RuO2에서 205 pm까지 다양하고, Ru−Cl 결합은 일반적으로 235-245 pm입니다. 루테늄은 일산화탄소 및 인산염과 같은 π-수용 리간드에 대한 강한 친화력을 보이며, 시너지적 σ-기여 및 π-역결합 메커니즘을 통해 안정한 배위 착물을 형성합니다.
전기화학적 및 열역학적 성질
루테늄은 폴링 척도에서 2.2, 멀리켄 척도에서 4.5 eV의 전기음성도를 가지며, 전자 인력을 중간 정도로 나타냅니다. 산성 수용액에서의 표준 전극 전위는 원소의 산화환원 다양성을 보여줍니다: Ru3+/Ru2+ 쌍대는 +0.249 V, RuO42−/Ru2+ 쌍대는 +1.563 V로, 높은 산화 상태의 강력한 산화 능력을 나타냅니다. 전자 친화도는 101.3 kJ/mol로, 전자 수용 경향이 중간 정도임을 보여줍니다. 열역학적 안정성 분석에서 루테늄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음의 생성 엔탈피를 나타내며, RuO2는 ΔHf° = −305.0 kJ/mol입니다. 이 원소는 대기 부식에 대해 뛰어난 안정성을 보이며, 상온에서 산소, 물, 대부분의 산과 반응하지 않습니다. 산화 반응은 1073 K 이상의 고온에서만 시작되어 휘발성 RuO4를 형성합니다.
화학 화합물 및 착물 형성
이원 및 삼원 화합물
루테늄은 다양한 산화 상태를 가진 산화물 화합물을 형성합니다. 루테늄 이산화물(RuO2)은 가장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산화물로, 정사각형 대칭성을 가진 루틸 구조로 결정화됩니다. 이 화합물은 금속성 전도성과 산소 발생 반응에 대한 촉매 활성을 나타냅니다. 루테늄 테트라옥사이드(RuO4)는 298 K에서 용융되는 휘발성 노란 고체로, 강력한 산화 특성을 지니며 오스뮴 테트라옥사이드와 유사합니다. 할로겐 화합물 형성에는 모든 일반 할로겐이 포함됩니다: 루테늄 헥사플루오라이드(RuF6)는 팔면체 분자 구조를 가진 짙은 갈색 고체이며, 루테늄 트라이클로라이드(RuCl3)는 다중 적갈색 결정으로 존재합니다. 켈코겐화합물에는 황화 루테늄(RuS2)이 피리트 구조를 취하고, 셀레늄화 루테늄(RuSe2)은 유사한 결정 구조를 가집니다.
배위 화학 및 유기금속 화합물
루테늄은 다양한 리간드 유형과 광범위한 배위 화학을 보입니다. 펜타아민 착물 [Ru(NH3)5L]n+은 여섯 번째 배위 부위를 가진 팔면체 기하학적 구조를 나타냅니다. 폴리피리딘 착물 중 [Ru(bpy)3]2+는 발광 특성과 전자 이동 능력을 보입니다. 유기금속 화합물에는 루테늄센(Ru(C5H5)2)과 같은 샌드위치 구조와 Ru3(CO)12와 같은 루테늄 카보닐 군집이 포함됩니다. 카르벤 착물, 특히 루테늄-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한 그럽스 촉매는 뛰어난 선택성과 작용기 내성을 가진 올레핀 분산 반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RuCl2(PPh3)3와 같은 인산염 리간드 화합물은 다양한 루테늄 배위 화합물 합성에 유용한 전구체로 작용합니다.
자연적 분포 및 동위원소 분석
지화학적 분포 및 풍부도
루테늄의 지각 내 풍부도는 약 0.001 ppm(1 ppb)으로 매우 낮으며, 이는 지구에서 78번째로 풍부한 원소입니다. 주요 산지는 초마그마성 화산암과 층상 침입체 내 백금족 금속 광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주요 매장지는 남아프리카의 버시펠트 복합체(전 세계 루테늄 매장량의 약 95% 포함)와 러시아의 노릴스크-탈나흐 지역입니다. 캐나다 온타리오의 서드베리 분지 내 황화광석체에도 경제적으로 중요한 소규모 매장지가 존재합니다. 마그마 공정 중 지화학적 분별은 황화액 불혼화를 통해 백금족 원소들과 함께 루테늄을 농축시킵니다. 이 원소는 높은 철친화성을 보이며, 행성 분별 공정 중 금속 상에 우선 분배됩니다.
핵 성질 및 동위원소 조성
자연계 루테늄은 96Ru(5.54%), 98Ru(1.87%), 99Ru(12.76%), 100Ru(12.60%), 101Ru(17.06%), 102Ru(31.55%), 104Ru(18.62%) 등 7개의 안정 동위원소로 구성됩니다. 102Ru는 핵 스핀이 0이지만 다른 동위원소들은 다양한 스핀 상태를 가지며 NMR 분광 응용에 기여합니다. 핵 자기 모멘트는 99Ru에서 −0.6413 핵 자기 단위에서 101Ru에서 +0.2875까지 다양합니다. 34개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확인되었으며, 106Ru는 373.59일의 반감기를 가지며, 베타 붕괴를 통해 106Rh로 전환되어 의료용 방사선 치료에 응용됩니다. 알려진 동위원소의 질량수는 90에서 115까지이며, 열중성자 단면적은 104Ru에서 0.31 봉, 105Ru에서는 1200 봉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입니다.
산업적 생산 및 기술적 응용
추출 및 정제 방법
루테늄은 구리와 니켈 정련 공정에서 백금족 금속 회수의 부산물로 추출됩니다. 주요 원료는 전해정련 공정에서 얻은 양극 슬러지 침전물로, 질량 대비 0.5-2% 루테늄을 포함합니다. 초기 분리에는 873 K에서 과산화나트륨 용융 후 왕수 용해를 통해 귀금속을 용해시키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루테늄은 오스뮴과 이리듐과 함께 불용성으로 남아 초기 분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후 723 K에서 중황산나트륨 처리로 루테늄을 용해시키고, 오스뮴과 이리듐은 용해되지 않은 채로 남습니다. 휘발성 RuO4로의 산화는 증류 정제를 가능하게 하며, 95% 이상의 수집 효율을 나타냅니다. 최종 환원 공정은 773 K에서 수소 가스를 사용하여 99.9% 순도의 금속 루테늄 분말을 얻습니다. 연간 글로벌 생산량은 약 35톤이며, 남아프리카가 전체 생산량의 약 85%를 차지합니다.
기술적 응용 및 미래 전망
전기적 응용 분야가 루테늄의 주요 산업적 사용처로, 연간 생산량의 약 45%를 차지합니다. 전기 접촉부는 고전류 밀도에서 작동하는 스위칭 장치에 특히 루테늄의 마모 저항성과 산화 안정성을 활용합니다. 두꺼운 필름 저항체는 루테늄 이산화물과 납, 비스무트 루테늄산염을 포함하여 온도 범위 전반에서 안정한 저항 값을 제공합니다. 촉매 응용에는 피셔-트롭쉬 합성에서 사용되며, 루테늄이 촉매된 코발트 촉매는 직쇄형 탄화수소에 대해 우수한 선택성을 보입니다. 특히 올레핀 분산 반응 촉매인 그럽스 촉매는 의약품 합성과 고분자 생산에서 뛰어난 효율을 제공합니다. 향후 응용에는 다층 구조에서 자기 결합을 제공하는 루테늄 박막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 매체와 금속 수소화물 형성을 통한 수소 저장 물질이 포함됩니다. 미래 전망으로는 연료 전지 전극, 초고용량 커패시터, 루테늄의 전자적 성질을 활용한 첨단 메모리 소자가 있습니다.
역사적 발전 및 발견
루테늄의 발견은 19세기 초 백금 화학의 발전기 동안 백금 광석 잔여물에 대한 체계적 분석에서 비롯됩니다. 1828년 고트프리트 오산은 우랄산맥 백금 광석을 분석하던 중 발견을 주장하며 세 가지 새로운 원소를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예른스 야콥 베르셀리우스는 이 결과를 반박하며 잔여물 구성에 대한 오랜 과학적 논쟁을 촉발했습니다. 카를 에른스트 클라우스는 1844년 카잔 대학교에서 확실한 분리 및 특성을 규명하며 논쟁을 종결시켰습니다. 클라우스는 왕수에 불용성인 백금 광석에서 6g의 루테늄을 얻었으며, 체계적 화학 분석을 통해 이 원소의 고유성을 입증했습니다. 이 이름은 라틴어로 러시아를 지칭하는 Ruthenia에서 유래하여 러시아 제국에서 발견된 위치를 기념합니다. 이후 시어도어 윌리엄 리차드는 1905년에 정확한 원자량을 결정했으며, 헨리 모즐리는 1913년에 X선 분광법으로 원자번호 44를 확인했습니다. 현대적 산업 응용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전기 접촉 기술과 촉매 화학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습니다.
결론
루테늄은 백금족 금속의 독특한 구성원으로, 뛰어난 화학적 안정성, 다양한 산화 화학, 전문화된 기술적 응용 분야로 구별됩니다. 이 원소의 비정상적인 전자 배치는 독특한 결합 특성과 촉매 능력을 제공하며, 이는 산업적 혁신을 계속해서 이끌고 있습니다. 현재 전자기기, 촉매, 신기술 응용 분야에서 루테늄의 중요 역할이 입증되고 있으며, 향후 연구 방향은 단일 원자 촉매, 양자 컴퓨팅 응용, 지속 가능한 에너지 기술 등이 있습니다. 루테늄의 희소성과 지리적 집중 분포는 재활용 기술과 대체 물질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루테늄의 기본 화학에 대한 이해는 기존 응용 분야의 최적화와 뛰어난 화학적, 물리적 성능이 요구되는 차세대 기술 개발에 필수적입니다.

저희 화학반응식 계산기에 만족하셨다면 만족도 평가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