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 | |
---|---|
36Kr크립톤83.79822
8 18 8 |
![]() |
기본 속성 | |
---|---|
원자 번호 | 36 |
원자량 | 83.7982 amu |
요소군 | 노벨가스 |
기간 | 4 |
그룹 | 18 |
차단하다 | p-block |
Discovery year | 1898 |
동위원소 분포 |
---|
80Kr 2.25% 82Kr 11.6% 83Kr 11.5% 84Kr 57.0% 86Kr 17.3% |
80Kr (2.26%) 82Kr (11.64%) 83Kr (11.54%) 84Kr (57.20%) 86Kr (17.36%) |
물리적 특성 | |
---|---|
밀도 | 0.003733 g/cm3 (STP) |
(H) 8.988E-5 마이트네리움 (Mt) 28 | |
녹는점 | -157.22 °C |
헬륨 (He) -272.2 탄소 (C) 3675 | |
비등 | -152.3 °C |
헬륨 (He) -268.9 텅스텐 (W) 5927 |
화학적 특성 | |
---|---|
산화 상태 (덜 일반적) | +2 (+1) |
제일 이온화 에너지 | 14.000 eV |
세슘 (Cs) 3.894 헬륨 (He) 24.587 | |
전자 친화 | -1.000 eV |
노벨리움 (No) -2.33 (Cl) 3.612725 | |
전기음성도 | 3 |
세슘 (Cs) 0.79 (F) 3.98 |
화합물 | ||
---|---|---|
공식 | 이름 | 산화 상태 |
KrF2 | 크립톤 이불화물 | +2 |
크립톤(Kr): 주기율표 원소
요약
크립톤(Kr, 원자번호 36)은 주기율표 18족에 속하는 불활성 기체입니다. 이 무색 무취 기체는 표준 상태에서 극히 낮은 화학 반응성을 보이지만 극한 조건에서는 안정한 화합물을 형성합니다. 원자량 83.7982 u와 전자배치 [Ar]3d¹⁰4s²4p⁶을 갖는 크립톤은 전자 껍질 완결 특성을 보여줍니다. 이 원소는 -152.3°C에서 끓고 -157.22°C에서 녹으며 다른 불활성 기체들과 유사한 기체상 특성을 유지합니다. 5개의 안정 동위원소를 가진 크립톤은 대기 중 약 1 ppm의 자연적 존재비를 나타냅니다. 산업적 응용은 특수 조명 시스템, 고에너지 레이저 기술, 첨단 소재 과학 분야에서 그 유일한 스펙트럼 특성과 화학적 안정성으로 인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서론
크립톤은 주기율표 36번 위치를 차지하며 이론적 화학과 기술적 응용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1898년 윌리엄 램지와 모리스 트래버스에 의해 발견된 이 원소는 대기 구성과 불활성 기체 특성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되었습니다. 4주기 18족에 위치한 크립톤의 전자배치 [Ar]3d¹⁰4s²4p⁶은 4p 서브셸까지 모든 오비탈이 완전히 채워진 구조를 보여줍니다. 이 전자 배열은 뛰어난 화학적 안정성을 부여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특정 열역학적 조건에서 안정한 크립톤 화합물 형성이 입증되었습니다. 브로민과 루비듐 사이의 위치는 원자 반지름, 이온화 에너지, 전기음성도의 주기적 경향성을 반영하며 할로겐 반응성에서 알칼리 금속 특성으로의 전이를 설명합니다.
물리적 성질과 원자 구조
기본 원자 매개변수
크립톤은 원자번호 36과 표준 원자량 83.7982 ± 0.002 u를 가지며 제논 다음으로 자연계에서 가장 무거운 불활성 기체입니다. 전자배치 [Ar]3d¹⁰4s²4p⁶은 4번째 전자껍질이 완전히 채워져 8개의 가전자 전자를 4s²4p⁶ 구조로 가집니다. 공유 반지름 1.10 Å와 반데르발스 반지름 2.02 Å의 측정값은 닫힌 껍질 전자구조가 원자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줍니다. 외부 전자의 유효 핵전하(Z*eff)는 8.8로 계산되어 내부 전자껍질의 핵 차폐 효과가 큽니다. 제1 이온화 에너지는 14.00 eV로 이전 전이금속보다 훨씬 높지만 할로겐인 불소보다 낮아 4주기 전자결합 에너지의 주기적 경향성을 반영합니다.
거시적 물리적 특성
표준 상태에서 크립톤은 무색 무취 기체로 밀도 0.003733 g/cm³를 가집니다. 여기 상태에서 독특한 스펙트럼 특성을 보여 녹색과 노란색 방출선이 뚜렷한 백색 발광을 나타냅니다. 상전이 온도는 -157.22°C(115.93 K)의 녹는점과 -152.3°C(120.85 K)의 끓는점을 가지며 4.92°C의 좁은 액체 범위는 불활성 기체의 약한 분자간 힘을 반영합니다. 고체 상태에서는 58 K에서 면심 입방 결정구조를 형성하며 격자 상수는 5.72 Å입니다. 증발 잠열 9.08 kJ/mol과 융해 잠열 1.64 kJ/mol은 모두 전이금속보다 현저히 낮은 값입니다. 일정 압력에서의 비열은 0.248 J/(g·K)이며 273 K에서의 열전도율은 9.43 × 10⁻³ W/(m·K)입니다.
화학적 성질과 반응성
전자구조와 결합 특성
크립톤의 전자구조는 4p⁶까지 모든 오비탈이 완전히 채워져 있어 화학 반응성을 근본적으로 결정합니다. 닫힌 껍질 구조는 화학 반응의 활성화 장벽을 극도로 높여 화합물 형성에 극한 조건이 필요합니다. 주요 산화 상태 +2는 4p 전자 2개 제거를 반영하지만 열역학적 안정성 계산에서는 상당한 에너지 입력이 요구됩니다. 크립톤 화합물의 공유 결합은 전자결핍 종 또는 고전기음성 원소인 플루오린과 같은 원소와 관련됩니다. 결합 형성 메커니즘은 크립톤이 최소한의 전자 밀도를 제공하면서 기하학적 안정성을 부여하는 3중심 4전자 결합 구조를 따릅니다. 확인된 화합물의 혼성화 패턴은 sp³d² 오비탈 혼합을 시사하지만 극한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의 실험적 증거만 제한적으로 존재합니다.
전기화학적 및 열역학적 성질
크립톤의 전기음성도는 폴링 척도에서 3.00으로 브로민(2.96)과 불소(3.98) 사이의 전자인출 능력을 보여줍니다. 연속 이온화 에너지는 불활성 기체의 특징적 패턴을 따르며 제1 이온화(14.00 eV), 제2 이온화(24.36 eV), 제3 이온화(36.95 eV)는 점진적으로 안정한 전자배치에서 전자 제거에 필요한 에너지 증가를 반영합니다. 전자친화도는 안정한 닫힌 껍질 구조로 인해 사실상 0으로 불활성 기체의 추가 전자 수용 거부 특성을 보여줍니다. 수용액 상태에서 화합물 불안정성으로 인해 크립톤의 표준 환원 전위 데이터는 제한적입니다. 표준 상태에서 KrF₂의 열역학적 안정성은 생성 엔탈피 ΔH°f = -60.2 kJ/mol을 나타내지만 운동론적 장벽으로 인해 상온 상압에서는 자발적 형성이 불가능합니다.
화학 화합물과 착물 형성
이원 및 삼원 화합물
크립톤 이불화물(KrF₂)은 가장 안정하고 잘 연구된 크립톤 화합물로, 400°C 이상에서 자외선 조사 또는 전기 방전 조건으로 크립톤과 불소의 직접 반응을 통해 합성됩니다. 이 화합물은 Kr-F 결합 길이 1.89 Å의 선형 분자 구조를 가지며 일반적인 불소 결합보다 긴 길이는 3중심 결합 배열을 반영합니다. 결정 구조 분석은 Pnma 공간군의 직교정계 대칭성을 보여주며 분자간 상호작용은 반데르발스 힘에 의해 지배됩니다. 0°C 이상에서 열분해가 발생해 저온 시스템에만 실용적 응용을 제한합니다. 크립톤 사불화물(KrF₄)에 대한 보고는 논란이 있으며 현재 증거는 다른 불화종 오식별 가능성에 무게를 둡니다. 삼원 화합물로는 Kr(OTeF₅)₂가 있으며 이는 KrF₂와 텔루륨 옥시불화물의 반응으로 생성되지만 안정성은 극히 제한적입니다.
배위화학 및 유기금속 화합물
크립톤을 포함한 배위 착물은 극히 드문데 이온화된 고전기음성 리간드가 극저온(-50°C 이하)에서 안정화할 때만 형성됩니다. [HCN-Kr-F]⁺ 양이온종은 선형 배위 능력을 입증하며 극한 압력(5 GPa 이상)에서 형성되는 Kr(H₂)₄는 분자수소로 둘러싸인 면심 입방 구조를 가집니다. 이 화합물은 진정한 공유결합보다는 반데르발스 복합체로, 고압 유지 시에만 안정합니다. KrXe⁺와 같은 혼합 불활성 기체종은 질량분석에서 검출되었으나 열불안정성으로 인해 분리 및 분석이 어렵습니다. 이론적 계산은 HKrCN과 같은 유기크립톤 화합물의 가능성은 예측하지만 실험적 확인은 특수한 행렬 고립 조건에서만 제한적으로 성공했습니다.
자연적 존재와 동위원소 분석
지화학적 분포와 존재비
크립톤은 대기 중 약 1.14 ppm(부피 기준)을 차지하며 표준 온도압력에서 질량 농도는 1.7 mg/m³입니다. 지각 내 존재비는 0.4 ppb(질량 기준)로 극히 낮아 휘발성과 지구 환경에서 안정한 광물상 형성 불가능성을 반영합니다. 대기 중 크립톤은 주로 행성 축적 시 포획된 원시 불활성 기체에서 유래하며 방사성 붕괴 기여는 미미합니다. 물에 대한 용해도는 0°C에서 0.026 g/L로 수문학적 시스템에 소량 농축 가능하지만 생물학적 흡수는 사실상 없습니다. 화산 분출은 맨틀 유래 휘발성 물질 탈기로 극소량 공급하며 운석 유래 기여도 미미합니다. 지화학적 분별은 중량 동위원소의 응집상 유지 경향으로 대기와 맨틀 유래 샘플 간 동위원소 변이를 초래합니다.
핵 특성과 동위원소 구성
자연계 크립톤은 5개의 안정 동위원소로 구성됩니다: ⁸⁰Kr(2.25%), ⁸²Kr(11.6%), ⁸³Kr(11.5%), ⁸⁴Kr(57.0%), ⁸⁶Kr(17.3%). 추가로 ⁷⁸Kr은 이중 전자 포획을 통한 ⁷⁸Se로의 붕괴 반감명이 9.2 × 10²¹년으로 실용적 안정성을 가집니다. 핵자성 모멘트는 동위원소마다 상이하며 ⁸³Kr은 핵 스핀 I = 9/2와 자기 모멘트 μ = -0.970 μN으로 NMR 분광 응용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방사성 동위원소인 ⁸⁵Kr(반감명 10.76년)은 우라늄 핵분열 생성물로 대기 추적자 역할을 합니다. 대부분의 동위원소 중성자 포획 단면적은 작지만 ⁸³Kr은 열중성자 포획 단면적 σ = 185 뱐을 가집니다. 질량분석은 다양한 지구화학적 저장소에서 동위원소 분별 효과를 보여주며 지질학적 시간 척도에서 대기 진화와 지화학적 과정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산업적 생산과 기술적 응용
추출 및 정제 방법론
상업적 크립톤 생산은 산소와 제논 사이의 끓는점 차이를 이용한 액체 공기 분별 증류에 전적으로 의존합니다. 산업용 공기분리 공장은 극저온에서 작동하는 다단 증류탑으로 농축하며 99.99% 이상의 순도를 달성합니다. 초기 공기 액화는 -196°C에서 이루어지고 주성분 분리 후 선택적 휘발화로 농축 효율을 증대시킵니다. 연간 글로벌 생산량은 약 8미터톤으로 복잡한 공정과 제한적 수요로 인해 단가가 리터당 400달러 이상입니다. 주요 생산지역은 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대규모 공기분리 시설입니다. 환경적 영향은 화학적 불활성으로 미미하지만 극저온 공정의 에너지 소모가 주요 고려사항입니다.
기술적 응용과 미래 전망
크립톤은 스펙트럼 특성으로 인해 고성능 조명 시스템에 특수하게 사용됩니다. 고속 촬영용 플래시 튜브는 우수한 색온도 특성을 가진 강한 순간 발광을 활용합니다. 에너지 효율 형광등은 크립톤-아르곤 혼합으로 소비전력을 줄이지만 고비용으로 인해 보급은 제한적입니다. 크립톤 불화물 엑시머 레이저는 248 nm 파장에서 반도체 제조, 재료 가공, 의료용 정밀 자외선 조사에 필수적입니다. 고단열 창호 제조에서는 공기 대비 열전도율을 감소시키며 광학적 투명성을 유지합니다. 신규 응용으로 전기 추진체로 사용되는 우주 추진 시스템에서 제논 대비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양자 컴퓨팅, 의료영상 대비 증강, 대기 제어 합성 소재 분야의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역사적 발전과 발견
1898년 윌리엄 램지와 모리스 트래버스가 런던 대학에서 액체 공기 분별 증류와 잔여 기체의 분광분석을 통해 크립톤을 발견했습니다. "크립토스(kryptos, 숨겨진)"라는 이름은 분리 및 식별의 어려움을 반영합니다. 램지는 불활성 기체 화학의 체계적 연구로 1904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며 이론적 틀을 확립했습니다. 20세기 초 분광학적 특성 분석이 진행되었으며 크립톤 방출선은 정밀 측정용 파장 기준으로 사용되었습니다. 1960년 크립톤-86 방출선 기반 미터 정의는 측정 과학의 이정표였으나 1983년 빛의 속도 기준 재정의로 대체되었습니다. 현대 연구는 극한 조건 화합물 형성에 집중하며 불활성 기체의 화학적 불활성에 대한 기존 가정을 재정립하고 있습니다.
결론
크립톤은 특유의 화학적 불활성과 독특한 물리적 특성으로 불활성 기체 중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며 특수 기술 응용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전자구조는 기본적 거동을 결정하지만 극한 조건 화합물 발견은 불활성 기체 화학 이해를 확장시켰습니다. 조명, 레이저, 첨단 소재 분야 산업적 응용이 지속되며 희소성과 복잡한 추출 과정에도 수요를 유지합니다. 미래 연구는 대기 진화 역할, 양자 응용, 비표준 조건 화합물 확장에 초점을 맞추며 정밀 측정 기준과 신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저희 화학반응식 계산기에 만족하셨다면 만족도 평가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