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 | |
---|---|
21Sc스칸듐44.95591262
8 9 2 |
![]() |
기본 속성 | |
---|---|
원자 번호 | 21 |
원자량 | 44.9559126 amu |
요소군 | 전이 금속 |
기간 | 4 |
그룹 | 2 |
차단하다 | s-block |
Discovery year | 1879 |
동위원소 분포 |
---|
45Sc 100% |
물리적 특성 | |
---|---|
밀도 | 2.989 g/cm3 (STP) |
(H) 8.988E-5 마이트네리움 (Mt) 28 | |
녹는점 | 1539 °C |
헬륨 (He) -272.2 탄소 (C) 3675 | |
비등 | 2832 °C |
헬륨 (He) -268.9 텅스텐 (W) 5927 |
화학적 특성 | |
---|---|
산화 상태 (덜 일반적) | +3 (0, +1, +2) |
제일 이온화 에너지 | 6.561 eV |
세슘 (Cs) 3.894 헬륨 (He) 24.587 | |
전자 친화 | 0.188 eV |
노벨리움 (No) -2.33 (Cl) 3.612725 | |
전기음성도 | 1.36 |
세슘 (Cs) 0.79 (F) 3.98 |
스칸듐(Sc): 주기율표 원소
요약
스칸듐은 주기율표에서 21번 원소로 독특한 화학적 특성을 가지며, 화합물에서 유일한 +3 산화 상태를 나타냅니다. 전자 배치는 [Ar]3d14s2입니다. 이 원소는 알루미늄과 이트륨 사이의 중간 이온 반경을 가지며, 이는 독특한 배위 화학적 특성을 부여합니다. 지각 내 존재량은 약 22ppm으로 희토류 광물에 주로 집중되어 희귀하게 분포합니다. 산업적 응용은 알루미늄 합금 강화, 고강도 조명, 신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기술에 중점을 둡니다. 단일 안정 동위원소인 45Sc는 핵 스핀 7/2를 가지며, 제한된 공급량이 상업적 활용을 제약하지만 우수한 물성에도 불구하고 활용이 제한적입니다.
서론
스칸듐은 3d 서브셸이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최초의 d-블록 원소로 주기율표 21번 위치를 차지합니다. 전자 구조 [Ar]3d14s2는 스칸듐을 전이금속으로 분류하지만 단일 d-전자로 인해 인접 원소와 구별되는 특성을 나타냅니다. 과거 희토류 원소로 분류된 것은 란타넘족과 함께 발견되는 특정 광물(특히 토르트베이타이트 및 유젠라이트)에서 유래했습니다. 라르스 프레드리크 닐손이 1879년에 스펙트로스코프로 발견한 스칸듐은 멘델레예프가 예측한 "에카보론"의 존재를 입증하며 주기적 관계의 예측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원소명은 스칸디나비아에서 유래하며, 초기 발견 광물의 출처를 반영합니다.
물리적 성질 및 원자 구조
기본 원자 매개변수
스칸듐은 원자번호 21, 표준 원자량 44.955907 ± 0.000004 u를 가집니다. 전자기저상태 [Ar]3d14s2는 단일 비쌍극 d-전자로 인해 상자성 특성을 나타냅니다. 원자 반경은 162 pm이며, Sc3+ 이온 반경 74.5 pm는 Al3+(53.5 pm)와 Y3+(90.0 pm) 사이에 위치합니다. 가전자 전자에 작용하는 유효 핵전하는 약 4.32이며 내부 전자껍질의 차폐 효과가 큽니다. 제1 이온화 에너지는 633.1 kJ mol-1, 제2 이온화 에너지는 1235 kJ mol-1, 제3 이온화 에너지는 2388.7 kJ mol-1입니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3 이온화 에너지는 표준 상태에서 Sc3+ 화합물 형성을 용이하게 합니다.
거시적 물리적 특성
스칸듐 금속은 대기 중 산화 시 약간의 황색 또는 분홍색을 띠는 은백색 광택을 나타냅니다. 298 K에서 육방 최밀 집합 구조로 결정화되며 격자 상수는 a = 330.9 pm, c = 526.8 pm입니다. 융점은 1814 K(1541°C), 비점은 3103 K(2830°C)입니다. 융해열은 14.1 kJ mol-1, 증발열은 332.7 kJ mol-1, 298 K에서의 정몰열용량은 25.52 J mol-1 K-1입니다. 밀도는 2.985 g cm-3로 온도 의존성을 보이며, 전기 전도도는 1.81 × 106 S m-1, 열전도도는 15.8 W m-1 K-1입니다.
화학적 성질 및 반응성
전자 구조 및 결합 특성
3d1 배치는 스칸듐의 주요 +3 산화 상태를 결정하며, d-전자와 4s 전자 모두 제거됩니다. 이 구조는 무색의 d0 Sc3+ 이온을 생성하며 상자성 특성을 가집니다. 스칸듐 화합물에서 배위수 6이 일반적이며 중간 이온 반경을 반영합니다. 일반적인 배위 기하학은 수용액 및 고체 화합물에서 팔면체 구조입니다. 사이클로펜타디에닐 리간드와 같은 유기금속 유도체에서는 공유결합이 발생합니다. Sc-O 결합 엔탈피는 일반적으로 671.4 kJ mol-1, Sc-F 결합은 605.8 kJ mol-1입니다. 공유결합 화합물에서의 혼성화는 주로 팔면체 기하학을 위한 sp3d2 궤도함수를 포함합니다.
전기화학적 및 열역학적 성질
폴링 전기음성도는 1.36로 칼슘(1.00)과 티타늄(1.54) 사이에 위치합니다. 연속 이온화 에너지는 Sc3+ 이온의 안정성을 입증합니다: 제1 이온화 에너지 6.56 eV, 제2 이온화 에너지 12.80 eV, 제3 이온화 에너지 24.76 eV. 제4 이온화 에너지(73.5 eV)의 급격한 증가는 Sc3+의 안정한 전자 구조를 확인합니다. Sc3+/Sc 환원 전위는 표준 수소 전극 대비 -2.077 V이며, 이는 금속 스칸듐의 강한 환원성을 나타냅니다. 전자 친화력은 18.1 kJ mol-1의 양의 값을 가지지만 [Ar]3d14s2 배치에 전자를 추가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반영합니다. 스칸듐 화합물의 열역학적 안정성은 음이온의 산화 상태가 증가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증가합니다.
화합물 및 착물 형성
이원 및 삼원 화합물
스칸듐 산화물 Sc2O3은 가장 중요한 이원 화합물로, 입방형 비스바이트 구조로 결정화됩니다. 이 산화물은 양성 특성을 가지며 산과 강염기 모두에 용해됩니다. 스칸듐 플루오라이드 ScF3은 물에 낮은 용해도를 보이지만 과잉 플루오라이드에서 헥사플루오로스칸데이트(III) 착물을 형성합니다. 나머지 할로화물인 ScCl3, ScBr3, ScI3은 높은 수용성과 루이스 산 특성을 나타냅니다. 스칸듐 황화물 Sc2S3은 고온에서 원소 직접 반응으로 생성됩니다. 삼원 화합물에는 스칸듐 인산염 ScPO4과 연료 전지 응용에 사용되는 스칸듐 안정화 지르코니아와 같은 혼합 금속 산화물이 포함됩니다.
배위 화학 및 유기금속 화합물
수용액 내 스칸듐 화학은 pH 4 이상에서 가수분해되는 육수화 스칸듐(III) 이온 [Sc(H2O)6]3+을 주로 포함합니다. Sc3+의 작은 이온 반경으로 인해 리간드 치환 반응은 결합 메커니즘을 따릅니다. 일반적인 리간드로 아세틸아세톤산염, EDTA, 인산염 유도체가 있습니다. 유기금속 스칸듐 화합물은 사이클로펜타디에닐 리간드를 포함하며, [ScCp2Cl]2는 대표적 이합체 구조입니다. 이 화합물은 뛰어난 열안정성을 가지며 촉매 응용에 사용됩니다. 스칸듐 트리플레이트 Sc(OTf)3은 유기합성에서 수분 내성을 가진 루이스 산 촉매로, 디엘스-알더 반응과 알돌 축합에서 높은 활성을 보입니다.
천연 존재 및 동위원소 분석
지화학적 분포 및 함량
스칸듐의 지각 함량은 22 ± 3 ppm으로 코발트와 니켈과 유사합니다. 이에 비해 스칸듐은 경제적 농도로 드물게 집적되어 산업적 활용이 제한적입니다. 이 원소는 지화학적 분별 시 산소 함유 상과의 친화성을 보이며 리토필 특성을 나타냅니다. 주요 스칸듐 광물로는 최대 45 wt% 스칸듐 산화물을 함유한 토르트베이타이트 (Sc,Y)2Si2O7과 ScPO4·2H2O인 콜벡카이트가 있습니다. 스칸듐 함유 화강암의 강한 풍화로 형성된 잔류광床와 수성열수 과정을 통해 우라늄 광화작용과 연관된 특정 지질 환경에서 스칸듐 농축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핵 특성 및 동위원소 조성
천연 스칸듐은 45Sc 단일 동위원소로 구성되며 핵 스핀 I = 7/2, 자기 모멘트 μ = +4.756 핵 자기 단위입니다. 이 동위원소는 387.80 MeV의 결합 에너지를 가지며 지구 환경에서 완전한 핵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인공 동위원소는 37Sc부터 62Sc까지 존재하며, 46Sc가 83.8일의 반감기를 가집니다. 방사성 46Sc는 2.37 MeV의 붕괴 에너지로 46Ti로 베타 붕괴합니다. 45Sc(n,γ)46Sc 반응의 열중성자 흡수 단면적은 27.5 뱐입니다. 12.4 keV의 핵 전이 현상은 이론적 주파수 안정도가 세슘 원자 시계보다 3자리수 높은 정밀 시간 측정 기술에 잠재적 가능성을 보입니다.
산업 생산 및 기술적 응용
추출 및 정제 방법론
전 세계 스칸듐 생산량은 연간 15-20톤의 산화물 기준으로, 수요가 공급을 약간 초과합니다. 주요 생산은 우라늄, 니켈, 희토류 채굴 부산물로 이루어집니다. 중국 바이안오보 광산, 우크라이나 조브티 보디 시설, 러시아 콜라 반도가 주요 생산지입니다. 추출은 일반적으로 트리부틸 인산염 또는 디(2-에틸헥실) 인산을 이용한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진행됩니다. 스칸듐은 희토류와 유사한 화학적 성질로 인해 다단계 분리 정제가 필요합니다. 금속 생산은 산화물의 플루오라이드 전환 후 1400-1500 K에서 칼슘 환원으로 이루어지며, 알칼리 금속 환원 또는 용융염 전해법도 대안으로 사용됩니다. 산화물은 g당 $4-5, 금속은 g당 $100-130의 생산 비용이 발생합니다.
기술적 응용 및 미래 전망
알루미늄-스칸듐 합금이 가장 주요한 상업적 응용으로, 전 세계 생산량의 약 60%를 차지합니다. 알루미늄에 0.1-0.5 wt% 스칸듐을 첨가하면 L12 결정 구조를 가진 일관성 있는 Al3Sc 침전물을 형성하며 기계적 성질과 용접 품질을 대폭 향상시킵니다. 고강도 방전 램프는 미국에서 연간 약 20 kg의 Sc2O3를 소비하며 높은 색 렌더링 지수의 백색광을 생성합니다.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는 이트륨 안정화물보다 우수한 이온 전도성을 제공하는 스칸듐 안정화 지르코니아 전해질을 사용합니다. 신규 응용에는 정유소 운영용 방사성 추적제로 46Sc를 사용하거나 유기합성용 스칸듐 트리플레이트 촉매 시스템이 있습니다. 스칸듐 함유 고엔트로피 합금 연구는 항공우주 분야의 뛰어난 강도-중량비를 위한 가능성을 보입니다.
역사적 발전 및 발견
스칸듐 발견은 멘델레예프의 주기율 원리 적용 결과입니다. 1869년 멘델레예프는 주기율표 공백을 기반으로 원자량 40-48의 미지 원소 "에카보론" 존재를 예측했습니다. 라르스 프레드리크 닐손은 1879년 스칸디나비아산 유젠라이트와 가돌리나이트 광물의 스펙트로스코프 분석을 통해 최초로 스칸듐 산화물을 분리했습니다. 고순도 산화물 2g의 제조는 당시 뛰어난 분석 성과였습니다. 페르 테오도르 클레브는 닐손의 원소가 멘델레예프의 예측과 일치함을 확인하며 주기율 이론의 핵심적 검증 사례로 자리매김했습니다. 금속 스칸듐은 1937년 베르너 피셔가 973-1073 K에서 칼륨-리튬-스칸듐 염의 공융 혼합물을 전해하여 최초로 제조했습니다. 1971년 알루미늄 합금 강화 효과 발견 후 상업적 개발이 가속화되며 소련의 미그-21 및 미그-29 전투기 항공 응용으로 이어졌습니다.
결론
스칸듐은 단일 d-전자 구조와 유일한 +3 산화 상태로 전이금속 내 독특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알루미늄과 이트륨 사이의 중간 이온 반경은 특수한 배위 화학 및 소재 특성을 부여하며 기술적 응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제한된 천연 농축과 복잡한 추출 과정은 우수한 기계적 및 전자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상업적 활용을 제한합니다. 현재 알루미늄 합금 및 고강도 조명 응용은 성숙한 기술이지만, 연료 전지 및 촉매 분야의 신규 활용은 수요 확대 가능성을 보입니다. 향후 연구는 효율적 추출법 개발, 고엔트로피 합금 탐구, 스칸듐 기반 양자 시간 측정 시스템 연구가 포함됩니다.

저희 화학반응식 계산기에 만족하셨다면 만족도 평가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