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ed from https://www.webqc.org

유효 숫자 계산기

유효 숫자로 계산할 수학적 표현식을 입력하세요

유효 숫자 계산기 사용

수학 표현식을 입력하고 '계산'을 클릭하면 적절한 유효 숫자가 포함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계산기는 기본적인 산술 연산을 지원합니다: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지수(^), 제곱근(√).

예시 표현: 12.34 + 5.6, 2.50 × 3.14, 125.6 ÷ 4.2, 15.0 - 2.33, (12.5 + 8.0) × 2.1, √(16.0), 2.5², 100.0 ÷ 3.0, 1.23 + 4.567 + 8.9, 45.6 × 7.89 ÷ 2.1.

계산기는 단계별 해법을 보여주고, 각 연산에서 유효 숫자가 어떻게 결정되고 적용되는지 설명합니다.

유효숫자란 무엇인가요?

유효 숫자(유효 자릿수라고도 함)는 측정의 정밀도에 대한 의미 있는 정보를 담고 있는 숫자의 숫자입니다. 여기에는 0이 아닌 모든 숫자, 유효 숫자 사이의 0, 소수점 뒤의 0이 포함됩니다. 앞에 오는 0은 결코 유효하지 않습니다.

유효 숫자 식별 규칙

1. 0이 아닌 숫자는 항상 유효합니다.

예: 123에는 유효 숫자가 3개 있고, 4.56에는 유효 숫자가 3개 있습니다.

2. 유효 숫자 사이의 0은 유효합니다.

예: 1002의 유효 숫자는 4개이고, 50.3의 유효 숫자는 3개입니다.

3. 앞에 오는 0은 결코 유효하지 않습니다.

예: 0.0052는 유효 숫자가 2개이고, 0.123은 유효 숫자가 3개입니다.

4. 소수점 뒤의 0은 유효합니다.

예: 12.30에는 유효 숫자가 4개 있고, 5.400에는 유효 숫자가 4개 있습니다.

5. 소수점이 없는 끝에 붙는 0은 모호할 수 있습니다.

예: 1200은 맥락에 따라 유효 숫자가 2, 3 또는 4개일 수 있습니다.

계산 규칙

덧셈과 뺄셈

결과는 소수 자릿수가 가장 적은 숫자와 같은 소수 자릿수를 가져야 합니다.

예: 12.34 + 5.6 = 17.9 (5.6은 소수점 이하 자릿수가 1자리이므로 17.94가 아닙니다)

곱셈과 나눗셈

결과는 유효 자릿수가 가장 적은 숫자와 같은 개수의 유효 자릿수를 가져야 합니다.

예: 12.34 × 5.6 = 69(5.6은 유효 숫자가 2자리뿐이므로 69.104가 아님)

혼합 작업

다양한 연산을 결합할 때는 연산 순서대로 규칙을 적용하고, 중간 계산에서는 여분의 자릿수를 유지하고 최종 결과만 반올림합니다.

일반적인 예

예제 1: 추가

12.34 + 5.6

12.34 → 2 decimal places

5.6 → 1 decimal place

Result: 17.9 (rounded to 1 decimal place)

예제 2: 곱셈

2.50 × 3.14

2.50 → 3 significant figures

3.14 → 3 significant figures

Result: 7.85 (3 significant figures)

예 3: 혼합 작업

(12.5 + 8.0) × 2.1

Step 1: 12.5 + 8.0 = 20.5 (1 decimal place)

Step 2: 20.5 × 2.1 = 43 (2 significant figures)

저희 화학반응식 계산기에 만족하셨다면 만족도 평가를 남겨주세요
메뉴 계수 맞추기 몰 질량 기체 법칙 단위 화학 도구 주기율표 화학 포럼 대칭성 상수 기여 문의처
인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