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 | |
---|---|
108Hs하슘2692
8 18 32 32 14 2 |
![]() |
기본 속성 | |
---|---|
원자 번호 | 108 |
원자량 | 269 amu |
요소군 | 전이 금속 |
기간 | 7 |
그룹 | 2 |
차단하다 | s-block |
Discovery year | 1984 |
동위원소 분포 |
---|
없음 |
물리적 특성 | |
---|---|
밀도 | 28 g/cm3 (STP) |
(H) 8.988E-5 마이트네리움 (Mt) 28 |
화학적 특성 | |
---|---|
산화 상태 (덜 일반적) | (+3, +4, +6, +8) |
원자 반경 | |
---|---|
공유 결합 반경 | 1.34 Å |
(H) 0.32 프랑슘 (Fr) 2.6 |
전자적 특성 | |
---|---|
껍질당 전자 | 2, 8, 18, 32, 32, 14, 2 |
전자 배치 | [Rn] 5f14 |
보어 원자 모형
| |
궤도 상자 다이어그램
| |
원자가 전자 | 8 |
루이스 점 구조 |
|
궤도 시각화 | |
---|---|
| |
전자 | - |
하슘 (Hs): 주기율표 원소
요약
하슘 (Hs, 원자번호 108)은 주기율표 8족에 위치하는 합성 초중량 전이금속으로, 6d 전이금속 계열의 여섯 번째 구성원입니다. 이 방사성 원소는 극히 짧은 반감기를 가지며, 가장 안정적인 동위원소인 ²⁷¹Hs의 반감기는 약 61초입니다. 입자 가속기에서 핵합성으로만 생성되는 하슘은 백금족 금속에 속하는 오스뮴 아래 위치한 특성에 부합하는 화학적 성질을 보입니다. 이 원소는 +8, +6, +4, +2의 예측 산화 상태를 나타내며, 특히 테트록사이드 형성이 가장 대표적인 화학적 반응입니다. 합성된 극소량의 생산량과 인공적 특성으로 인해 하슘의 응용은 기초 핵화학 및 화학 연구에 한정되어 있습니다.
서론
하슘은 1984년 독일 GSI 헬름홀츠 중이온 연구센터에서 최초 합성된 원소로, 수십 년 간의 초중량 원소 합성 연구의 정점입니다. 라틴어로 하세(Hesse) 주를 의미하는 '하시아(Hassia)'에서 이름을 딴 하슘은 핵물리학과 이론화학의 교차점에 있는 원소입니다. 전자 배치 [Rn] 5f¹⁴ 6d⁶ 7s²를 갖는 하슘은 오스뮴 아래 8족에 위치하며, 인공적 기원에도 불구하고 전이금속으로 분류됩니다. 합성은 철-58 입자를 납-208 타겟에 충돌시키는 고도의 입자 가속 기술을 요구합니다. 이 원소의 존재는 '안정섬' 이론을 검증하고 초중량 원소계의 상대론적 효과를 실험적으로 입증하는 역할을 합니다.
물리적 특성 및 원자 구조
기본 원자 매개변수
하슘은 원자번호 108을 가지며, 원자핵에 108개의 양성자를 포함합니다. 기저 상태 전자 배치는 [Rn] 5f¹⁴ 6d⁶ 7s²로, 6d 전이금속 계열에 속함을 나타냅니다. 이론적 계산은 주기율표 경향에 부합하는 원자 반지름을 예측하며, 오스뮴 (134 pm)과 메이트너륨 (128 pm) 사이 약 130 pm로 추정됩니다. 5f 오비탈의 불완전한 차폐로 인해 가전자층 전자에 작용하는 유효 핵전하가 증가하며, 이는 화학 반응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원자번호 108에서 상대론적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스핀-오르빗 결합과 질량-속도 보정을 통해 전자 구조와 화학 결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거시적 물리적 특성
극히 짧은 반감기와 극소량의 생산량으로 인해 하슘의 본질적 물리적 특성 직접 측정은 현재 실험 기술로 불가능합니다. 이론적 계산은 표준 조건에서 금속 고체 상태를 예측하며, 예측 밀도는 40.7~41.0 g/cm³로, 모든 원소 중 가장 높은 수준에 속합니다. 결정 구조는 오스뮴과 유사한 육방밀집구조가 가능하나, 면심입방 수정도 배제되지 않았습니다. 융점은 2400 K 이상, 끓는점은 5400 K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8족 가벼운 원소들의 경향을 외삽한 결과입니다. 정압열용량 계산은 25 J/(mol·K) 수준으로, 중금속 원소에 대한 뒤팽-뻬티 법칙 예측과 일치합니다.
화학적 특성 및 반응성
전자 구조 및 결합 행동
하슘의 화학적 성질은 6d⁶ 7s² 가전자 전자 배치에서 비롯되며, 이는 +2에서 +8까지의 산화 상태를 가능하게 합니다. +8 산화 상태는 가장 열역학적으로 안정적이며, 6d 전자 6개와 7s 전자 2개 모두를 결합에 사용함으로써 달성됩니다. 실험적 증거는 하슘 테트록사이드 (HsO₄) 형성을 확인하며, 이는 오스뮴 테트록사이드 (OsO₄)와 유사한 휘발성을 보입니다. 기체상 크로마토그래피 연구는 하슘 테트록사이드가 가벼운 동족체와 유사한 휘발성을 가지며, 이는 8족 화학적 주기성을 검증합니다. 이 원소는 산소, 플루오린, 염소 원자와 공유결합을 쉽게 형성하며, 계산된 결합 에너지는 d⁶ 전자 배치와 일치하는 강력한 다중 결합 능력을 나타냅니다.
전기화학적 및 열역학적 특성
하슘의 전기음성도는 약 2.4로 폴링 척도 상 오스뮴 (2.2)과 이리듐 (2.2) 사이에 위치하나, 상대론적 수축 효과로 인해 증가합니다. 연속 이온화 에너지는 전이금속의 특성을 따르며, 제1 이온화 에너지는 7.7 eV, 제2 이온화 에너지는 16.1 eV로 계산됩니다. +8 산화 상태 달성을 위한 여덟 번째 이온화 에너지는 약 83 eV로, 이 전자 배치의 안정성을 반영합니다. 표준 환원 전위는 이론적 추정에 의존하며, HsO₄/Hs⁴⁺ 반응계는 표준 수소 전극 대비 +0.9 V로 예측됩니다. 열역학적 안정성 분석은 하슘 화합물이 가벼운 초중량 원소에 비해 증가된 안정성을 보이며, 이는 예측된 안정섬에 접근하는 셸 폐쇄 효과 때문입니다.
화학 화합물 및 착물 형성
이원 및 삼원 화합물
하슘 테트록사이드는 이 원소의 가장 철저히 분석된 화합물로, 고온 산화 반응을 통해 분자성 산소와 형성됩니다. 이 화합물은 Hs-O 결합 길이가 1.65 Å인 사면체 분자 구조를 가지며, 상대론적 효과로 인해 오스뮴의 결합 길이 (1.71 Å)보다 짧습니다. 실험적 연구는 HsO₄가 450 K에서 휘발성을 보이며, 기체상 화학 연구를 위한 크로마토그래피 기술 적용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이론적 계산은 하슘 헥사플루오라이드 (HsF₆)와 하슘 테트라클로라이드 (HsCl₄) 존재를 예측하나, 짧은 반감기로 인해 실험적 확인은 어려운 상태입니다. HsO₄의 생성 엔탈피 계산은 -394 kJ/mol로, 원소 상태의 하슘과 산소에 비해 상당한 열역학적 안정성을 보입니다.
배위화학 및 금속유기 화합물
하슘의 배위화학은 방사성 붕괴 속도로 인해 주로 이론적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전자 구조 계산은 배위수가 4~8까지 다양하며, 팔면체 및 사면체 구조가 가장 안정적인 배열임을 예측합니다. 리간드 장 이론 적용 결과, 대부분의 배위 환경에서 고스핀 구조가 예상되나 강한 리간드는 저스핀 상태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결정장 안정화 에너지는 d⁶ 배치에서 특히 두드러지며, 팔면체 착물에서 약 2.4Δ에 달합니다. 금속유기 화합물은 아직 가상적이나, 오스뮴 헥사카보닐과 이소로벌 관계를 기반으로 한 [Hs(CO)₆] 착물은 이론적으로 가능합니다. 예측된 18전자 규칙 준수는 다양한 금속유기 화학 가능성을 시사하나, 실험적 검증은 장수명 동위원소 합성에 의존합니다.
자연적 존재 및 동위원소 분석
지화학적 분포 및 풍부도
하슘은 인공적 기원과 극히 짧은 반감기로 인해 지구 및 우주 물질에서 자연 발생하지 않습니다. 알려진 모든 동위원소는 빠른 방사성 붕괴를 겪어 자연적 축적이 불가능합니다. 이론적 계산은 우주 핵합성 최적 조건에서도 하슘 생성률이 붕괴율에 비해 무시할 만합니다. 민감한 질량분석기의 배경 방사능 수준이 검출 한계로, 지각 내 풍부도 측정은 항상 0을 나타냅니다. 운석 시료에서의 결재는 항성 환경에서의 급속 중성자 포획 과정 (r-과정)이 이 원자번호 영역의 짧은 반감기 특성을 극복하지 못함을 입증합니다.
핵 특성 및 동위원소 조성
하슘 동위원소는 질량수 263~277까지 존재하며, 알파 붕괴, 자발적 핵분열, 전자 포획 메커니즘을 통해 방사성 불안정성을 보입니다. 가장 안정적인 동위원소인 ²⁷¹Hs는 61 ± 17초의 반감기를 가지며, 10.74 MeV 붕괴 에너지로 ²⁶⁷Sg로 전이됩니다. ²⁶⁹Hs는 9.7초 반감기로 알파 붕괴하며, ²⁷⁰Hs는 3.6초 반감기로 주로 알파 붕괴합니다. 생산 단면적은 극히 작아, 핵반응 경로에 따라 1~10 피코바른 범위입니다. 자발적 핵분열 분기비는 질량수가 증가함에 따라 약 20%에 달하며, 핵 자기 모멘트와 전기 쌍극자 모멘트는 실험적 결정이 미정입니다.
산업적 생산 및 기술적 응용
추출 및 정제 방법론
하슘 생산은 중이온 가속기 시설을 통한 인공 핵합성에만 의존합니다. 주요 합성 경로는 약 5.5 MeV/핵자 에너지에서 ²⁰⁸Pb 타겟에 ⁵⁸Fe 입자를 충돌시키는 것으로, 융합-증발 반응 ²⁰⁸Pb(⁵⁸Fe,1n)²⁶⁵Hs를 통해 생성됩니다. 대안적 방법으로 ²⁰⁷Pb 타겟에 ⁵⁹Co 빔을 사용하나, 최적 조건에서도 시간당 1~10개 원자 수준의 수율을 유지합니다. 정제는 휘발성 화합물 분리를 위한 기체상 크로마토그래피와 이온종 분리를 위한 이온교환법에 의존합니다. 검출 시스템은 알파 분광법과 위치 감지 검출기를 결합하여 개별 원자 붕괴 이벤트를 추적합니다. 생산 효율은 타겟 순도, 빔 전류 안정성, 검출기 데드타임 최적화에 결정적 영향을 받습니다.
기술적 응용 및 미래 전망
현재 하슘의 응용은 핵 구조 연구와 화학 주기성 검증에 한정되어 있습니다. 이 원소는 상대론적 양자역학 계산과 핵 셸 모형 예측을 포함한 초중량 원소 특성 예측 이론 모델 검증에 필수적입니다. 기체상 화학 연구는 초중량 시스템에 대한 계산 화학 방법론 실험적 검증을 제공합니다. 장수명 동위원소 합성 또는 가속기 기술 개선을 통한 생산량 증대 시, 미래 응용 가능성이 열릴 수 있습니다. 백금족 금속에 속하는 점에서 촉매 특성 연구도 제기되나, 실용적 적용은 반감기 한계 극복에 달려 있습니다. 이 원소는 핵 안정성 한계 이해에 기여하며, 114번 원소 주변의 예측된 안정섬 달성을 위한 이론적 접근에 중요한 교두보 역할을 합니다.
역사적 발전 및 발견
하슘의 발견은 1960년대 시작된 초중량 원소 합성 연구의 체계적 결과입니다. 독일 다름슈타트 GSI 헬름홀츠 중이온 연구센터에서 1984년 ²⁰⁸Pb + ⁵⁸Fe → ²⁶⁶Hs + n 핵반응을 통해 최초 확인된 이 원소는 피터 아름부스터와 고티프 뮌첸베르크 팀에 의해 성공적으로 합성되었습니다. 초기 실험은 특징적인 알파 붕괴 사슬을 통해 3개 원자를 검출하며 합성을 입증했습니다. 러시아 두바나 핵융합연구소의 경쟁적 주장은 국제 검토위원회에서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국제순수및응용화학연합(IUPAC)은 1997년 독일 하세(Hesse) 주를 기리는 이름으로 "하슘"을 공식 채택했습니다. 후속 연구는 동위원소 지식 확장과 2001년 테트록사이드 형성 입증 실험을 포함하며, 현재 일본 리켄(RIKEN)과 로렌스 버클리 연구소 등 국제 시설에서 지속되고 있습니다.
결론
하슘은 확장된 화학 주기성의 전이금속 연속체이자, 핵 안정성 경계를 탐색하는 선도적 원소로 주기율표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성공적인 합성과 화학적 특성 분석은 초중량 원소 행동을 지배하는 이론적 틀을 검증하며, 핵물리학과 화학적 성질 간 복잡한 상호작용을 드러냅니다. 극히 짧은 반감기에도 불구하고, 8족 분류에 부합하는 측정 가능한 화학 반응성을 보이며, 특히 테트록사이드 형성을 통해 입증되었습니다. 향후 연구 방향은 장수명 동위원소 합성, 추가 화합물 특성 분석, 첨단 기술 응용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탐구입니다. 이 원소는 핵 구조 한계 이해의 기반이 되며, 장수명 초중량 원소가 실용적 응용을 가능하게 할 예측된 안정섬으로의 필수적인 교두보 역할을 지속할 것입니다.

저희 화학반응식 계산기에 만족하셨다면 만족도 평가를 남겨주세요